Google/구글 애널리틱스4 (GA4) 4

[GA4] GA4 기본 개념 - 보고서 구성 요소와 활용법 알아보기 (feat. 측정기준, 측정항목, 비교, 필터)

이번에는 실제로 GA4 데모 계정을 살펴보면서 보고서의 구성 요소와 세그먼트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A4데이터를 읽고 활용하기 위해서 반드시 알아야하는 기본적인 내용이니 잘 기억해주세요! GA4 인터페이스(보고서) 구성 GA4 보고서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1번은 '필터'로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조건에 따라 하위 집합만을 확인하기 위해 활용합니다. 2번은 '비교'로, 이를 활용하여 여러가지 데이터 세트를 나란히 표시하여 한눈에 비교해볼 수 있습니다. 3번은 유니버셜 애널리틱스의 '샘플링'과 유사한 표시인데요, 보고서에 표시된 데이터가 100%인지 아니면 일부만 표시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4번은 보고서의 기간을 조정할 수 있는 패널입니다. (당연하겠지만 실시간 보고서에서는 ..

[GA4] 구글 애널리틱스4 시작하기 - 속성 생성부터 태그 설치까지

지난 글을 보신 분들이라면 2023년 7월부터 유니버셜 애널리틱스가 종료되는 것은 모두 알고 계실 것 같습니다. 애널리틱스 데이터는 소급 적용이 되지 않기 때문에 지금부터 데이터를 수집해두어야 한다고도 강조드렸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GA4 속성을 만들고 데이터를 수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 UA 속성이 있으신 분들, 그리고 아예 처음 GA를 시작하시는 분들을 위해 2가지 버전으로 안내해드릴테니 잘 읽어주세요! GA4 속성 만들기 : UA 속성에서 GA4로 업그레이드 이미 UA 속성이 있으시다면 [관리 > GA4 설정 어시스턴트]를 통해 쉽게 GA4로 업그레이드하실 수 있습니다. '시작하기'를 클릭한 후 '만들고 계속하기' 버튼을 눌러주면, 위와 같이 [데이터 측정 시작하기] 화면이 나옵니다. 이미 기존..

[GA4] GA4, 유니버셜 애널리틱스(UA)와 뭐가 다를까? GA4의 장점은? - 2편

지난 글에서 UA와 GA4의 차이점이자 장점인 '데이터 집계 방식'과 '교차 기기/플랫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GA4, 유니버셜 애널리틱스(UA)와 뭐가 다를까? GA4의 장점은? - 1편 올해 3월, 구글에서 유니버셜 애널리틱스의 종료를 발표했습니다. 유니버셜 애널리틱스 속성에서는 2023년 7월부터, GA360에서는 2023년 10월부터 더 이상 신규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을 예정입니다. jeongsunset.tistory.com 이번에는 GA4의 장점인 강화된 머신러닝 기능과 유튜브 동영상 트래킹 기능 및 빅쿼리 연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강화된 머신러닝 GA4에서는 UA에 비해 머신러닝 기능이 훨씬 강화되었습니다. 강화된 머신러닝을 뒷받침하는 예시로는 GA4의 기여 분석 모델과 예측 모델을 들..

[GA4] GA4, 유니버셜 애널리틱스(UA)와 뭐가 다를까? GA4의 장점은? - 1편

올해 3월, 구글에서 유니버셜 애널리틱스의 종료를 발표했습니다. 유니버셜 애널리틱스 속성에서는 2023년 7월부터, GA360에서는 2023년 10월부터 더 이상 신규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을 예정입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구글 애널리틱스는 데이터 이관은 물론 소급 적용도 되지 않기 때문에 구글 애널리틱스를 계속 사용하고자 한다면 지금부터 GA4를 병행 사용하며 데이터를 쌓아 UA 종료에 대비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반드시 사용해야 할 GA4는 기존의 UA와 무엇이 다를까요? 데이터 집계 방식의 차이 가장 큰 차이점은 데이터 처리 및 측정 방식입니다. UA는 여러 상호작용(Hit)을 세션 단위로 그룹화해 데이터를 집계했습니다. 하지만 GA4는 모든 사용자의 상호작용(Hit)을 독립된 이벤트로 처리하여..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