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월, 구글에서 유니버셜 애널리틱스의 종료를 발표했습니다.
유니버셜 애널리틱스 속성에서는 2023년 7월부터, GA360에서는 2023년 10월부터 더 이상 신규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을 예정입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구글 애널리틱스는 데이터 이관은 물론 소급 적용도 되지 않기 때문에 구글 애널리틱스를 계속 사용하고자 한다면 지금부터 GA4를 병행 사용하며 데이터를 쌓아 UA 종료에 대비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반드시 사용해야 할 GA4는 기존의 UA와 무엇이 다를까요?
데이터 집계 방식의 차이
가장 큰 차이점은 데이터 처리 및 측정 방식입니다.
UA는 여러 상호작용(Hit)을 세션 단위로 그룹화해 데이터를 집계했습니다. 하지만 GA4는 모든 사용자의 상호작용(Hit)을 독립된 이벤트로 처리하여 데이터를 집계합니다.
(UA의 세션 개념이 헷갈린다면 아래의 글을 확인해주세요! 참고로 GA4에서는 세션 개념이 조금 달라졌습니다. 이부분도 나중에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1.06.09 - [Google/구글 애널리틱스 (GA)] - 4. 구글 애널리틱스(GA) 데이터 단위 - 조회(Hit), 세션(Session), 사용자(User)
4. 구글 애널리틱스(GA) 데이터 단위 - 조회(Hit), 세션(Session), 사용자(User)
구글 애널리틱스의 데이터 단위인 에 대해 알아보자. ▷ 조회 (Hit) 조회는 웹사이트에서 발생하는 모든 개별적인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이전 게시글에서 페이지 뷰에 해당하는 추적코드(gtag)를
jeongsunset.tistory.com
쉽게 말해서 GA4의 데이터 기준이 더 작아졌고, 그에 따라 더 상세한 분석이 가능해졌다는 것입니다.
UA에서는 세션 기준으로 데이터를 집계했기 때문에 하나의 세션에 한 개 이상의 여러 조회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이와 달리 GA4에서는 기본 단위가 이벤트로 더 작아져 더 자유도 높고 상세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세션 중심의 데이터 집계 방식에서 사용자 중심의 이벤트 데이터 집계 방식으로 전환됨에 따라, UA에 비해 더 다양한 고객 행동을 잡아내고, 이벤트 파라미터를 통해 상세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집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체류시간, 로드 속도 등의 페이지 기준 데이터가 아닌 스크롤, 클릭, 영상 재생 등의 사용자 참여(이벤트) 데이터가 GA4의 주요 지표가 되었습었다.
완전한 교차 기기/플랫폼 보고
다들 아시겠지만 UA에서는 웹 데이터만 분석이 가능했습니다. 따라서 앱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Firebase(파이어베이스)를 통해 따로 데이터를 확인했어야 했습니다. 물론, 한 명의 사용자가 웹/앱에 들어왔을 때 다른 사람인 것처럼 중복하여 집계되었죠. 하지만 GA4에서는 웹 데이터 스트림과 함께 앱 데이터 스트림을 추가하여 GA4 속성에서 웹과 앱 데이터를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이미지와 같이 GA4 기술 보고서를 통해 확인 가능한 것처럼, 앱과 웹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을 함께 측정/확인/분석할 수 있습니다.
(데모 계정이 궁금하다면 아래의 글을 확인해주세요!)
2021.05.20 - [Google/구글 애널리틱스 (GA)] - 1. 구글 애널리틱스(GA)란?
1. 구글 애널리틱스(GA)란?
구글 애널리틱스(GA)란? Google Marketing Platform(GMP : 통합 마케팅 및 애널리틱스 플랫폼)에 포함되어있는 툴 중 하나로, 구글에서 제공하는 무료 웹 로그 분석 툴. 비즈니스를 위한 애널리틱스 도구
jeongsunset.tistory.com

또한, [분석 > 세그먼트 중복 분석 템플릿]을 통해 위와 같이 교차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수 등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보다 통합적인 기기/플랫폼 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것이죠.
쿠키 기반에서는 기기에 따라, 또 브라우저에 따라 쿠키가 새로 발급되었기 때문에 세션이 아닌 사용자 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엔 어려웠습니다. 하지만 GA4에서 구글 신호 데이터(Google Signals)를 활성화하면 보다 더 정확한 교차기기 분석이 가능합니다. (물론 100%는 아니지만요^^;)
구글 신호 데이터에 대한 내용은 다음에 더 자세히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로그 글은 제가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지적, 댓글, 좋아요, 구독 모두 환영합니다. 😉
'Google > 구글 애널리틱스4 (GA4)'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4] GA4 기본 개념 - 보고서 구성 요소와 활용법 알아보기 (feat. 측정기준, 측정항목, 비교, 필터) (1) | 2023.03.19 |
---|---|
[GA4] 구글 애널리틱스4 시작하기 - 속성 생성부터 태그 설치까지 (0) | 2022.12.28 |
[GA4] GA4, 유니버셜 애널리틱스(UA)와 뭐가 다를까? GA4의 장점은? - 2편 (2) | 2022.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