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유니버셜 애널리틱스 글으로 찾아왔습니다.
요즘에는 모두 유니버셜 애널리틱스보다는 GA4 도입을 고려하고 계실 것 같은데요, 그래도 기초를 튼튼하게 다지고(?) 혹시나 유니버셜 속성으로 GA를 새로 사용해보시는 분들을 위해 UA 내 보고서를 활용하기 위한 기본 개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인터페이스(보고서) 구성
그럼 GA 인터페이스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참고로 오늘 볼 UA 속성 및 보고서들은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제공하는 데모 계정을 활용할 예정입니다. 데모 계정 엑세스가 필요하신 분들은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GA의 보고서는 Acquisition, Behaviors, Conversions, 즉 획득, 행동, 전환 보고서 순서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억하기 쉽게 ABC 순서를 떠올려 주시면 됩니다.
위 사진에서 보실 수 있는 것처럼, 보고서 내 측정항목도 마찬가지로 획득, 동작, 전환으로 구성되어 있죠.
측정 항목 & 측정 기준
위에서 잠깐 '측정항목'이라는 용어가 나왔는데요, 혹시 헷갈리시는분들이 있을 수 있으니 개념을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각각의 보고서는 측정항목과 측정기준으로 구성됩니다. 측정 항목은 정량적인 측정 요소인데요, 셀수 있는 값이라고 생각해주면 쉽습니다. 예를 들어 세션수, 페이지뷰수, 사용자수 등이 있습니다. 모두 숫자로 표현될 수 있죠.
측정기준은 데이터의 속성입니다. 쉽게 말해 셀 수 없는 정성적인 값인데요, 페이지 URL, 캠페인명, 성별, 연령 등이 있습니다. 카운팅되는 것이 아닌 데이터를 나타내는 값인 것이죠.
위의 보고서로 한 번 더 복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GA 내 보고서에서 제공되는 표의 경우 가로 행은 대부분 측정기준, 세로 열은 대부분 측정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위의 표도 마찬가지로 '국가'와 '기기 카테고리'라는 측정 기준 행과 '사용자', '신규 방문자', '세션'이라는 셀 수 있는 값인 측정 항목 열로 구성되어 표시되었습니다.
GA의 주요 측정항목
그러면 GA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측정항목들의 개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측정 항목 | 의미 | |
히트(조회) | 웹사이트 내 모든 상호작용 (페이지뷰, 클릭 등) | |
세션 | 첫 히트부터 기준시간(보통 30분)동안 중단되지 않고 이어진 히트의 집합 - 매 히트마다 기준시간 리셋 - 한 세션의 종료 기준 : 30분 이상 행동이 없을 때, 자정이 지날 때, 쿠키가 삭제/변경될 때 |
|
사용자 수 | 디바이스 별로 집계되는 사용자 수 | |
페이지뷰 수 | 사이트 내에서 조회된 전체 페이지뷰 수 (중복 카운트 O) | |
이탈 | 페이지뷰가 1개인 세션 | |
세션 시간 | 마지막 활동 시간 - 첫 활동 시간 | |
목표 전환율 | 목표(전환) 완료수 / 방문자수 |
특히 히트, 세션, 사용자는 애널리틱스의 데이터 단위로 데이터의 이해르 위해 중요한 개념인데요, 이전 글에서 아주 자세히 설명했으니 아래 글도 참고해보세요!
[GA] 구글 애널리틱스(GA) 데이터 단위 - 조회(Hit), 세션(Session), 사용자(User)
구글 애널리틱스의 데이터 단위인 에 대해 알아보자. ▷ 조회 (Hit) 조회는 웹사이트에서 발생하는 모든 개별적인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이전 게시글에서 페이지 뷰에 해당하는 추적코드(gtag)를
jeongsunset.tistory.com
GA 활용 팁! - 기본 측정기준 변경 & 보조 측정기준 추가
대부분의 애널리틱스 보고서는 측정 기준을 변경하거나 보조 측정 기준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기본 측정기준은 보고서의 표 상단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아래 표의 측정 기준은 '국가'로 되어 있는데요, 상단에서 '도시', '대륙' 등을 클릭하여 기본 측정 기준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죠.
또한 보조 측정기준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보조 측정기준은 GA 보고서를 보다 원하는 대로 활용하고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꼭 알아두셔야 하는 개념인데요, 말 그대로 측정 기준을 보조하는, 추가적인 정렬이나 집계의 기준이 되는 측정 기준입니다.
보조 측정기준도 마찬가지로 표의 상단 드롭다운 목록에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각 나라별로 어떤 브라우저에서 사용자들이 많이 접속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 이미지처럼 보조 측정기준으로 브라우저를 추가해서 활용해볼 수 있겠죠?
이번 글에서는 실제 GA 보고서 인터페이스와, 이를 구성하는 측정항목&측정기준을 확인해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애널리틱스 내 주요 보고서와 활용 방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Google > 구글 애널리틱스 (GA)'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 구글 애널리틱스 활용 - 주요 보고서(잠재고객, 획득, 행동, 전환) 활용 방법 (1) | 2023.01.23 |
---|---|
[GA] 구글 애널리틱스(GA) 데이터 단위 - 조회(Hit), 세션(Session), 사용자(User) (3) | 2021.06.09 |
[GA] 구글 애널리틱스(GA) 추적 코드(gtag) 심기 & 구글 태그 어시스턴트로 확인하기 (feat. 티스토리) (5) | 2021.05.26 |
[GA] 구글 애널리틱스(GA) 계정 생성 (계정, 속성, 보기) & 사용자 추가, 권한 부여 (1) | 2021.05.25 |
[GA] 구글 애널리틱스(GA)란? (3) | 2021.05.20 |